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KIDA 연구물
  • 연구초록

연구초록

중러의 전략적 협력관계가 동북아 정세에 미치는 영향 연구 상세보기 화면
제목 중러의 전략적 협력관계가 동북아 정세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저자 유영철,노인규,전재우
연구센터 안보전략
전문연구분야 국제전략
발행년도 2020
문서보기
공유하기

탈냉전기 중국과 러시아는 그간의 갈등 관계를 벗어 버리고 꾸준히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2014년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가 서방의 제재를 받기 시작하였던 시점과 트럼프 정권의 대중 압박이 거세어지면서 중러협력은 더욱 탄력을 받는 모양새를 갖추고 있다. 그간 우리는 중러의 전략적 협력이 국제 및 한반도 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큰 관심이 없었던 것도 사실이나, 중국과 러시아의 전략적 협력은 향후 국제 안보질서 변화의 주요 동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중러의 이 같은 움직임은 미국을 비롯한 서방세계의 견제와 제재에 대한 대응으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되며, 아울러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적 판단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중러 간 전략적 협력관계가 강화된 이유에 대해 결과론에 치우쳐서 표면적으로 드러난 몇 가지 요인이 사건의 진행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하는 오류를 범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된다. 즉, 중러 간의 전략적 협력관계의 원인을 단순히 ‘미국의 전략에 대한 반작용’이라는 식의 설명은, 그 개별적인 사실은 틀림이 없다고 하더라도 전체적인 강화 과정의 정확한 현상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중러의 전략적 협력 강화는 외부 요인도 있지만 중러 내부의 요인도 강력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사실을 고려하여 본 보고서는 향후 국제정세 변화의 주요 동인으로 발전할 수 있는 중러 간의 전략적 협력이 한반도 정세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첫째, 중러 협력관계의 원인과 배경에서는 중러관계의 역사 및 발전사를 분석하였고, 아울러 중러 양국의 전략적 의도를 연구하였다. 둘째, 중러의 군사·경제 부분을 중심으로 양국의 상호정책 및 인식에 대해 분석하였고, 이는 중러 양국이 향후에도 지금과 같은 관계를 유지, 발전시킬 수밖에 없는 원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셋째, 미국의 대중러정책에 대해 분석하면서 중러 협력에 대한 미국의 제재와 인식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넷째, 중러의 전략적 협력이 안보정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 정리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 중러의 전략적 관계 강화는 과거의 많은 부정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파악하였다. 

저자 소개

저자 사진
노인규 (NOH, IN KYU/魯仁圭)
  • 부서 : 안보전략연구센터(국방전략연구실)
  • 직급 : 선임연구원
  • 전문분야 : 국제사, 미국의 대외정책
  • 연락처 : 02-961-1871
저자 사진
전재우 (Jun, Jaewoo/全宰佑)
  • 부서 : 안보전략연구센터(국제전략연구실)
  • 직급 : 선임연구원
  • 전문분야 : 남북관계, 한중관계, 북중관계
  • 연락처 : 02-961-1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