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HOME
  • KIDA 연구물
  • 동북아안보정세분석(NASA)

동북아안보정세분석(NASA)

2022년 제19회 샹그릴라 대화의 주요 특징과 함의 상세보기 화면
제목 2022년 제19회 샹그릴라 대화의 주요 특징과 함의
저자 권보람
발행일자 2022.06.23
국가 기타
주제 국제전략
발행년도 2022
문서보기
국문 키워드 샹그릴라 대화,인도-태평양 지역 안보,글로벌 중추국
공유하기


2022년 6월 10~12일, ‘샹그릴라 대화(Shangri-La Dialogue)’로 잘 알려진 제19회 아시아안보회의(Asia Security Summit)가 싱가포르에서 개최되었다. 본 회의는 국제사회가 코로나-19 대유행을 겪은 후 2년 만에 대면으로 개최되어 일상으로의 복귀를 알리면서도, 지난 2월 24일 러시아의 일방적인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규칙에 기반한 국제질서가 대격변을 겪는 상황에서 개최되어 주목받았다. 2022년 1월 23~25일 셰르파 회의에서 식별한 의제를 발전시켜 개최된 샹그릴라 대화는 ‘트랙 1.0(Track 1)’ 회의로서 올해에는 40개국에서 온 570여 명이 공식 참여했고, 총 7개 세션 및 동시 진행된 3개의 특별세션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의제는 미국 인도-태평양 전략 발전방안(제1세션), 다극적 지역 내 지정학적 경쟁 관리(제2세션), 새로운 안보협력 형태 발전 방안(제3세션), 군 현대화와 새로운 국방역량(제4세션), 역내질서에 대한 중국의 비전(제5세션), 아태지역과 유럽 방위에 대한 공동 도전(제6세션), 지역안정을 보장하기 위한 새로운 제안(제7세션)뿐 아니라 녹색국방, 미얀마 사태, 역내 해양안보 이슈 등을 포함했다. 본래 계획에 는 특별세션 중에 핵 안보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본 회의에서 빠졌다는 것은 인도-태평양 지역 내 안보 담론의 중심이 상당히 빠르게 변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바로보기를 선택하면 원문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저자 소개

저자 사진
권보람 (Bo Ram Kwon/權보람)
  • 부서 : 안보전략연구센터(국제전략연구실)
  • 직급 : 연구위원 (연구담당관)
  • 전문분야 : 미국 안보국방전략, 미국 국내정치와 외교정책, 한미동맹, 경제제재
  • 연락처 : 02-961-1854
"공공누리 제2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2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